aws-route53-review
요 며칠간 CF관련 이슈로 고민이 많았다. ipv6 부터 SK LTE까지… 이문제가 발생한 원인은 먼저 SK LTE DNS 에서의 ipv6라우팅이 가장 큰 원인일테고.. 같은 cloudfront에서도 발생하는 빈도차가 있었으므로 그 원인을 파악하고 해결하는 법을 서술하려고한다. 먼저 A alias는 ipv4로 라우팅한다. - A record 는 ipv4를 라우팅 하므로.. linuxer.name 이름: linuxer.name Addresses: 52.85.231.10 52.85.231.111 52.85.231.68 52.85.231.42 그렇다면 alias 를쓰는 사용자는 cf관련 문제를 겪지 않았을 것이다. Route 53 별칭 레코드는 AWS 리소스와 같은 별칭 대상의 DNS 이름에 내부적으로 매핑됩니다. Route 53은 조정 작업과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위해 별칭 대상의 DNS 이름과 연결된 IP 주소를 모니터링합니다. Route 53 이름 서버의 신뢰할 수 있는 응답에는 A 레코드(IPv4 주소에 대한 레코드) 또는 AAAA 레코드(IPv6 주소에 대한 레코드)와 별칭 대상의 IP 주소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https://aws.amazon.com/ko/premiumsupport/knowledge-center/route-53-create-alias-record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