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WS-Load-balance-Failover-time-test

로드벨런서의 사용용도는 뭘까? 말그대로 부하분산을 위한 장치이다. 부하분산을 위해선 기본적으로 헬스체크가 되어야 하고 헬스체크 간격과 인터벌이 중요하다. 예를들어 인터벌30초에 헬스체크2회 라고하면 Failover 의 기대 시간은 59초인것이다. 시작 점 0초 에서 헬스체크를 성공후에 1초부터 어플리케이션이 문제가 생기게 되면 총59초의 간격동안 마지막 헬스체크가 실패하여야 Failover가 발생한다. 이론상으로 그런데…….이게 좀 이상했다. 기대시간에 NLB가 전혀 미치지 못했다. 나열해 보자면.. ALB의 최소 상태검사 시간이다. 인터벌5초 임계값2 총 9초안에 인스턴스의 unhealthy를 감지하고 트래픽의 라우팅을 멈춘다. ALB는 기대스펙과 동일하게 작동했다. ...

November 19, 2020 · 3 min · 📁 AWS

AWS-NLB-Sticky-sessions-timeout

ALB에 대한 고찰이후 ELB관련 주제의 포스팅을 적는건 오랜만이다. NLB의 Sticky 에 대해 한번 적어보려 한다. Target group의 속성 이야기다. NLB sticky는 추가된지 6개월정도 지났지만 아직도 일반적으로 아는 기능은 아니다. 너무 오랜기간 없었던 터라 없다고 아는 사람이 더 많은..ㅋㅋㅋ 그런 기능이다. https://docs.aws.amazon.com/ko_kr/elasticloadbalancing/latest/network/load-balancer-target-groups.html 먼저 Docs 를 링크하고.. NLB의 Routing algorithm 은 ip_hash 방식으로 동작 한다. https://docs.aws.amazon.com/ko_kr/elasticloadbalancing/latest/userguide/how-elastic-load-balancing-works.html The protocol The source IP address and source port The destination IP address and destination port The TCP sequence number ...

August 31, 2020 · 2 min · 📁 AWS · 🏷️ sticky, nlb, stickin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