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WS-GCP-Azure-network-none-rfc1918

VPC를 생성하는 경우, 다음과 같이 /16RFC 1918:규격에 따라 프라이빗(비공개적으로 라우팅 가능) IPv4 주소 범위에 속하는 CIDR 블록( 또는 이하)을 지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_-;공인IP를 쓸수있는건 아니지만 걍 아무대역 가져다 써도 VPC는 생성 가능하다. 갑자기 궁금해져서 퍼블릭클라우드는 비RFC1918을 지원하는지 모두 테스트 해보았고 모두 지원한다~ DOCS에서 명확하게 적혀있는것은 AWS 뿐이었다. Azure VNet 내에서 사용할 수 있는 주소 범위는 무엇입니까? RFC 1918에 정의되어 있는 모든 IP 주소 범위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10.0.0.0/16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다음 주소 범위는 추가할 수 없습니다. ...

May 7, 2020 · 1 min · 📁 AWS, GCP, Azure

GCP-Professional-Cloud Network-Engineer-PCNE-review

4월 16일 Professional Cloud Network Engineer 2차 시험에 합격했다. 3월 9일 1차 응시를 했고 보기좋게 떨어졌다. 공부가 부족했다. 4월 3일 AZ-300 시험을 보고 다시 PCNE를 준비했다. 2주의 기간동안 정말 많은 공부를 했다. 지금까지 얕게 가지고 있던 GCP의 개념들을 DOCS를 보면서 재검토하고 다시 받아들였다. 뭔가 모르는게 많았다. 사실 프로토콜이나 LB같은 개념 BGP 라우팅 이런것들은 이해하고 있던거라 어렵지 않았는데 GCP 자체적인 제한이나 방법 그리고 권한 명령어 Docs 의 상세함. 이런것들이 이전에 내가 시간에 쫒겨 보던것과 달리 찬찬히 보게되니 굉장히 많은 도움이 됬다. ...

April 18, 2020 · 1 min · 📁 Certification, GCP · 🏷️ gcp, pcne, Professional-Cloud Network-Engineer

GCP-PCNE

https://docs.google.com/forms/d/e/1FAIpQLServ0tNGkr-dYAfmez_Gdk74dmVypZjzUKrkVFtFcArzhmPow/viewform gcp 테스트 시험. 어렵지 않은데? GCP-pcne-test-exam다운로드 할만하다는 느낌이 들었다. -공부 1일차 gke-어려웠다 인그레스개념이좀 이해가 안가는데? 쉐어 vpc는 무슨개념이지?

March 2, 2020 · 1 min · 📁 Certification · 🏷️ gcp, pcne

gcp terraform-3 vpc-nat create

vpc-nat 를 연결하기로 했다. 어젠 subnet 을 만들었고 오늘은 망분리 환경을 구성하기 위해 nat 를 넣었다. main.tf resource “google_compute_subnetwork” “us-central1-subnet” { name = “${local.name_suffix}-us-central1-subnet” ip_cidr_range = “10.2.0.0/16” region = “us-central1” network = “${google_compute_network.vpc.self_link}” } resource “google_compute_router” “us-central1-router” { name = “${local.name_suffix}-us-central1-router” region = google_compute_subnetwork.us-central1-subnet.region network = google_compute_network.vpc.self_link } resource “google_compute_address” “address” { count = 2 name = “${local.name_suffix}-nat-manual-ip-${count.index}” region = google_compute_subnetwork.us-central1-subnet.region } resource “google_compute_router_nat” “nat_manual” { name = “${local.name_suffix}-us-central1-router-nat” router = google_compute_router.us-central1-router.name region = google_compute_router.us-central1-router.region nat_ip_allocate_option = “MANUAL_ONLY” nat_ips = google_compute_address.address.*.self_link ...

January 5, 2020 · 1 min · 📁 GCP · 🏷️ gcp, terraform, nat

gcp-cloud shell 초기화

gcloud config list 를 확인하게되면 가끔 꼬인다…………………여러 어카운트를 가지고 관리할때 진짜 복잡해 지는데…. 이때에 필요한기능이다. cloud shell 을 초기화해서 꼬인 연결을 초기화 해준다. 문제가 될때 초기화 하자

January 5, 2020 · 1 min · 📁 GCP · 🏷️ gcp, cloud shell

gcp- Google Kubernetes Engine

https://cloud.google.com/kubernetes-engine/docs/quickstart?hl=ko 먼저 cloud shell 에서 프로젝트 지정하고 리전(아님)을 지정한다. - 수정- zone 을 지정한다. linuxer@cloudshell:~ (elated-ranger-263505)$ gcloud config set compute/zone us-central1-a Updated property [compute/zone]. 그리고 컨테이너 클러스터를 생성한다. linuxer@cloudshell:~ (elated-ranger-263505)$ gcloud container clusters create linuxer-k8s WARNING: Currently VPC-native is not the default mode during cluster creation. In the future, this will become the default mode and can be disabled using --no-enable-ip-ali as flag. Use --[no-]enable-ip-alias flag to suppress this warning. WARNING: Newly created clusters and node-pools will have node auto-upgrade enabled by default. This can be disabled using the --no-enable-autoupgrade flag. WARNING: Starting in 1.12, default node pools in new clusters will have their legacy Compute Engine instance metadata endpoints disabled by default. To create a cluster with legacy instance metadata endpoints disabled in the default node pool, run clusters create with the flag --metadata disable-legacy-endpoints=true. WARNING: Your Pod address range (--cluster-ipv4-cidr) can accommodate at most 1008 node(s). This will enable the autorepair feature for nodes. Please see https://cloud.google.com/kubernetes-engine/docs/node-auto-repair for more information on node autorepairs. ERROR: (gcloud.container.clusters.create) ResponseError: code=403, message=Kubernetes Engine API is not enabled for this project. Please ensure it is enabled in Google Cloud Console and try again: visit https://console.cloud.google.com/apis/api/container.googleapis.com/overview?project=elated-ranger-26 to do so. ...

January 5, 2020 · 2 min · 📁 GCP

gcp-terrafrom-2 with VPC create

이전 포스팅에서 cloud shell 을 이용해서 terraform 을 사용하는 방법을 포스팅 했다. 이번에는 VPC 를 생성하는 방법을 포스팅 하기로 하였다. https://www.terraform.io/docs/providers/google/r/compute_subnetwork.html 다음 docs 를 참고하였다. resource name -실제 vpc name -에 대문자가 들어가면 Error: Error creating Network: googleapi: Error 400: Invalid value for field ‘resource.name’ 에러가 발생한다 참고하자. 이걸 몰라서 한참..테스트를 했다. main.tf resource “google_compute_subnetwork” “us-central1-subnet” { name = “${local.name_suffix}-us-central1-subnet” ip_cidr_range = “10.2.0.0/16” region = “us-central1” network = google_compute_network.linuxer-VPC.self_link } resource “google_compute_subnetwork” “europe-west1-subnet” { name = “${local.name_suffix}-europe-west1-subnet” ip_cidr_range = “10.3.0.0/16” region = “europe-west1” network = google_compute_network.linuxer-VPC.self_link } resource “google_compute_network” “linuxer-VPC” { name = “${local.name_suffix}-vpc” auto_create_subnetworks = false } ...

January 4, 2020 · 2 min · 📁 GCP

gcp-terrafrom-1 with google cloud shell

gcp 스터디를 위해서 테라폼의 사용을 익히려고 한다. 그러기 위해선 먼저 테라폼을 gcp cloudshell 에서 사용하는것이 우선이라 생각했다. 테라폼으로 aws내 에선 테스트 경험이 있으므로 gcp 의 네트워크 구성과 환경에 맞춰서 테라폼을 설정하는 방법을 익혀야 했다. gcp 에서 테라폼을 사용하려면 cloudshell 을 사용하는 방법과 인스턴스를 생성하여 사용하는 방법 아니면 클라이언트 PC에서 사용하는 방법 이렇게 3가지가 있는데 나는 cloudshell 을 매우 좋아하므로 cloudshell 로 진행 할것이다. 먼저 cloud shell 에서 테라폼을 사용하려면 몇가지 단계를 거쳐야 했다. ...

January 4, 2020 · 3 min · 📁 GCP · 🏷️ gcp, cloudshell, terraform

GCP Cloud Functions

12월 29일 미션으로 Cloud Functions 이 포함되어있다. 미션은 이미지 업로드 후 리사이즈. 먼저 cloud functions 이 뭔지부터 알아야 한다. aws 에서 말하는 서버리스 컴퓨팅 서비스이다. 일반적으로 코어나 메모리를 정적으로 할당받아서 사용하는 방식이 아닌것이다. 먼저 Cloud Functions을 사용하기 위해서 진행해야 할 작업이 있다. gcp의 큰장점을 cloudshell 을 지원한다는 것이다. 인스턴스쉘 이긴 하나 언제 어디서나 shell을 사용할수 있다. 먼저 cloudshell을 실행하면 이런 창이뜬다. 여기에 Cloud Functions 을 사용하기 위한 환경을 우선적으로 구성해야 한다. ...

December 28, 2019 · 5 min · 📁 GCP

gcp VPC 및 network 미션

1.Pub pri.db네트워크 만들고 2.elb설정해오기 .서버는 private만 존재 3.nat도 만들고 서버에서 인터넷접속 확인하기까지. 가 일단 나는 목표인데 청개구리 속성상 미션대로 진행할리가 없다 나는.. 먼저 구글은 bastion host 가 대부분의 구성도에서 빠져있다. 외부IP가 없는 상태로 pri 에 속한 네트웤에도 gcp console로 접속을 할수 있는것. 어떤 원리도 작동되는것인지 먼저 파봐야 겠다. 외부IP는 없는상태이다. 방화벽에서 22번만 any 로 열어준 상태로 ssh 가 붙는다. ????? ssh가 맞는지 확인해본다. 다른 세션을 이용하거나 에이전트 방식일줄 알았으나 아니다. 외부의 접속을 받는 상태인거다. 이상태라면 aws 식으로 말하자면 igw 에 연결되어있는 퍼블릭상태에서 퍼블릭IP만 없는 요상한 상태인것으로 정확한 의미에서 망분리가 아닌것이다. ...

November 30, 2019 · 3 min · 📁 GCP · 🏷️ gcp lb, gcp vpc, gc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