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늘 5월 17일 ANS를 합격했다.
5월6일에 SCS를 보고난 후 개인적인 도전과… 스스로에 대한 점검의 의미로 ANS를 바로 도전하기로 생각했다.
GCP-PCA-PCNE를 이어서 보면서 AWS 의 Networking 자격증 또한 취득하고 싶었다.
그래서 5월6일 SCS를 합격하자 마자 그날부터 ANS를 공부했다.
먼저 jayendrapatil님의 블로그를 이전부터 봐왔기에 ANS 가이드와 정리가 있다는것을 알고 있었다. 그래서 먼저 정독했다.
https://jayendrapatil.com/aws-certified-advanced-networking-speciality-ans-c00-exam-learning-path/
그리고 나름의 계획을 세워서 Docs 정독과 BGP - Direct Connect를 주로 공부했다. 그외의 과목들은 SAP와 실무에서 자주하던 내용이라 깊게 고민하진 않았다.
계획대로 잘되나 했는데..연습시험이 없었다……왜?????????????? ANS만 연습시험이 없다…하…깜짝놀랐다.
Security Group 나 NACL Routing table 같은거나 VPC 디자인 같은 내용들은 SAP / SCS공부를 하면서도 반복한 내용인지라 따로 추가적인 공부를 하지 않았다.
가지고 있는 기본지식으로 문제를 풀수있을거라 생각했으므로..
DX의 사용방법이나 trensit VPC / DX HA / cloud hub 구성에 대해서 많이 찾아봤다.



이런 이미지 들로 주로 DX를 이해하려 했다. 그리고
https://dev.classmethod.jp/?s=Direct+Connect
일본의 AWS 파트너사인 Classmethod의 블로그를 참고했다.
간밤에는 오픈카톡에서 김용대님 신승광님 서노아님 등 여러분들이 참전하셔서 길을 찾아주셨다.
https://open.kakao.com/o/gMCqYXxb
여러분들과 운영해 나가는 자격증 오픈챗팅방이다.
그렇게 다양한 자료들을 흡수하며 DX를 이해하고 구성을 그렸다.
사실 잘 이해안가는건 BGP도 아닌 DX의 큰그림이 었기 때문이다.
DNS / VPC / DHCP option set 같은건 익숙했다.
그렇게 5일가량은 DX를 공부했다. 제일 도움이 됬던건
https://d1.awsstatic.com/whitepapers/aws-amazon-vpc-connectivity-options.pdf
Amazon Virtual Private Cloud Connectivity Options - white paper 정말 도움이 많이되었다.
그렇게 많은것들을 보고나서 오늘 종로 솔데스크에서 시험을 봤다.
시험을 완료하자마자 성적표가 날아왔다.

| 총점: 80% |
| 주제별 등급점수: 1.0 Design and implement hybrid IT network architectures at scale: 83% 2.0 Design and implement AWS networks: 85% 3.0 Automate AWS tasks: 100% 4.0 Configure network integration with application services: 71% 5.0 Design and implement for security and compliance: 83% 6.0 Manage, optimize, and troubleshoot the network: 57% |
다음과 같이 성적표까지 바로 발송되었다. 아슬아슬 했다고 생각한다.
여담으로 AWS의 시험시스템이 변경되었다고 이전에 언급했는데 당일에 점수와 결과가 발송된다.
그동안 너무 느린처리에 좀 불안하기도 하고 답답했는데 빨라져서 너무 다행이다.
일정대로 목표한 공부를 마쳤다.
시간이 난다면 sysops를 볼거 같다.
다음시험은 AZ-301을 취득하려 한다.
읽어주셔서 감사하다.
ANS 후기를 마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