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WS-CLF-Practitioner
https://www.aws.training/LearningLibrary AWS 의 기초학습은 먼저 AWS training ang certification 에서 진행한다. Amazon 계정이 필요하며 로그인후 클라우드 실무자 한국어로 정렬한다. 그럼 초보자를 위한 학습리스트가 보인다. 모두듣자. 그다음은 내 블로그에서 여러번 소개된 인도아저씨 블로그를 참고하자. Jayendra 님은 나를 AWS로 이끌어주는데 아주 많은 일조를 하신분이다. 항상 감사하는중. 언제 한번 계획을 세워 감사인사를 할 계획. https://jayendrapatil.com/aws-certified-cloud-practitioner-exam-learning-path/ https://jayendrapatil.com/aws-certified-solutions-architect-associate-saa-c02-exam-learning-path/ SAA 포스팅을 추가로 넣은이유는 경계가 애매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같이보는것도 좋다. 공부할때 참고하길 바라며 궁금하거나 알고싶은건 언제나 댓글이나, ...
Linux-cache-drop
리눅스에서 메모리 누수를 찾지 못할때 최후의 방법으로 cache 를 drop 하는 방법이 있다. sync && echo 3 > /proc/sys/vm/drop_caches
Linux-bashtop
bashtop&bpytop 이 핫해서 centos 7 에서 설치했습니다. bashtop 은 bash 4.4 이상 bpytop는 python3이상입니다. 오늘 저는 bashtop를 사용해볼까 합니다. 먼저 bash 5.0을 설치 하려 합니다. cd /usr/local/src/ wget http://ftp.gnu.org/gnu/bash/bash-5.0.tar.gz tar zxvf bash-5.0.tar.gz cd bash-5.0/ ./configure && make && make install mv /bin/bash /bin/bash.bak ln -s /usr/local/bin/bash /bin/bash [root@linuxer src]# bash -version GNU bash, version 5.0.0(1)-release (x86_64-pc-linux-gnu) 그래서 bash 를 다운받고 컴파일 해줬습니다. 기존 bash 는 4.2 버전이라 bash.bak 으로 변경해 문제가 생기면 언제든 사용할수 있도록 만들었습니다. ...
AWS Certified Solutions Architect – Associate SAA-C02
AWS Certified Solutions Architect – Associate SAA-C02 준비방법 자격증 개요확인 https://aws.amazon.com/ko/certification/certified-solutions-architect-associate/ 안내서 https://d1.awsstatic.com/ko_KR/training-and-certification/docs-sa-assoc/AWS-Certified-Solutions-Architect-Associate_Exam-Guide.pdf 샘플문항 https://d1.awsstatic.com/ko_KR/training-and-certification/docs-sa-assoc/AWS-Certified-Solutions-Architect-Associate_Sample-Questions.pdf 기본교육 - amazon id 필요 https://www.aws.training/Dashboard/?cta=tctopbanner 인도아저씨 - 서비스가 간략하게 정리되어있음 - 기출문제 존재 https://jayendrapatil.com/aws-certified-solutions-architect-associate-saa-c02-exam-learning-path/ 참고사이트 https://aws-hyoh.tistory.com 비공식 AWS 공인 솔루션스 아키텍트 - 어소시에이트 SAA-C02 (2020년 3월 출시) 수험 가이드 (bit.ly/saaguide) https://github.com/serithemage/AWSCertifiedSolutionsArchitectUnofficialStudyGuide
시작하는 엔지니어를 위해-2
시작하는 엔지니어를 위해-1 적은지 두달이 지났습니다. 다음편을 써야겠다 여러번 마음을 먹었지만 쉽지 않았습니다. 이전 주제는 엔지니어의 방향성에 대해서 이야기를 했습니다. 시스템 엔지니어와 클라우드 엔지니어의 차이 그리고 근본적인 핵심을 다루어야 한다는 이야기 까지요. 엔지니어로서 어떻게 하면 클라우드가 쉬워질까? 그리고 클라우드가 대세인 요즘 어떤 방향성을 가져야 할까? 를 적어보려 합니다. 먼저 클라우드는 마케팅 적 용어라 생각 합니다. 클라우드라 정의하고 이야기하지만 본질적으로는 컴퓨팅리소스를 임대하는 범주에서 벗어날수 없습니다. 물론 여기에는 많은 생략이 들어가 있기는 합니다. 하지만 클라우드가 대량의 컴퓨팅파워를 재 가공해서 판매하는 개념은 달라지지 않습니다. ...
AWS-CloudShell
OK! Thank You! amazon linux2 기반의 클라우드 쉘이다. 가볍고 빠르고 일부리전만 지원하고.. 얼른한국 리전도 지원해주세요.! 본격적으로 스펙을 파악해 보자. -bash-4.2# df -h Filesystem Size Used Avail Use% Mounted on overlay 30G 12G 17G 41% / tmpfs 64M 0 64M 0% /dev shm 1.9G 0 1.9G 0% /dev/shm tmpfs 1.9G 0 1.9G 0% /sys/fs/cgroup /dev/nvme1n1 30G 12G 17G 41% /aws/mde /dev/loop0 976M 2.6M 907M 1% /home tmpfs 1.9G 0 1.9G 0% /proc/acpi tmpfs 1.9G 0 1.9G 0% /sys/firmware 은근무거운데? ...
AWS-gp3-speed-test
볼륨 두개를 만들었다 mount /dev/nvme1n1p1 /mnt/gp3 mount /dev/nvme2n1p1 /mnt/gp2 yum install gcc zlib-devel wget https://codeload.github.com/axboe/fio/tar.gz/fio-3.24 tar zfxv fio-3.24 cd fio-fio-3.24/ ./configure --prefix=/home/fio make; make install 필요한 라이브러리 gcc, zlib-devel 설치후 컴파일. fio 는 나도 처음써보는 툴이다 fio --directory=/mnt/gp3 --name fio_test_file --direct=1 --rw=randread \\ --bs=4K --size=1G --numjobs=7 --time_based --runtime=180 --group_reporting \\ --norandommap 3분동안 하나의 스레드가 7개의 1G 파일을 4K 단위로 Direct I/O 모드의 Random Read 로 읽는 테스트이다. Jobs: 7 (f=7): [r(7)][100.0%][r=11.7MiB/s][r=3001 IOPS][eta 00m:00s] fio_test_file: (groupid=0, jobs=7): err= 0: pid=2450: Wed Dec 2 06:59:19 2020 read: IOPS=3016, BW=11.8MiB/s (12.4MB/s)(2121MiB/180004msec) clat (usec): min=188, max=296635, avg=2319.05, stdev=1213.65 lat (usec): min=188, max=296635, avg=2319.21, stdev=1213.65 clat percentiles (usec): | 1.00th=[ 408], 5.00th=[ 922], 10.00th=[ 1287], 20.00th=[ 1598], | 30.00th=[ 1762], 40.00th=[ 1926], 50.00th=[ 2057], 60.00th=[ 2212], | 70.00th=[ 2474], 80.00th=[ 2933], 90.00th=[ 3818], 95.00th=[ 4621], | 99.00th=[ 6194], 99.50th=[ 6587], 99.90th=[ 7767], 99.95th=[ 8455], | 99.99th=[10028] bw ( KiB/s): min= 9848, max=32328, per=100.00%, avg=12069.08, stdev=167.76, samples=2513 iops : min= 2462, max= 8082, avg=3017.27, stdev=41.94, samples=2513 lat (usec) : 250=0.05%, 500=2.12%, 750=1.59%, 1000=1.99% lat (msec) : 2=40.61%, 4=45.04%, 10=8.59%, 20=0.01%, 50=0.01% lat (msec) : 250=0.01%, 500=0.01% cpu : usr=0.12%, sys=0.29%, ctx=543082, majf=0, minf=93 IO depths : 1=100.0%, 2=0.0%, 4=0.0%, 8=0.0%, 16=0.0%, 32=0.0%, >=64=0.0% submit : 0=0.0%, 4=100.0%, 8=0.0%, 16=0.0%, 32=0.0%, 64=0.0%, >=64=0.0% complete : 0=0.0%, 4=100.0%, 8=0.0%, 16=0.0%, 32=0.0%, 64=0.0%, >=64=0.0% issued rwts: total=542985,0,0,0 short=0,0,0,0 dropped=0,0,0,0 latency : target=0, window=0, percentile=100.00%, depth=1 Run status group 0 (all jobs): READ: bw=11.8MiB/s (12.4MB/s), 11.8MiB/s-11.8MiB/s (12.4MB/s-12.4MB/s), io=2121MiB (2224MB), run=180004-180004msec Disk stats (read/write): nvme1n1: ios=542478/13, merge=0/3, ticks=1253070/0, in_queue=1078350, util=99.97% 정확히 3000iops 가 나온다. ...
AWS-EBS-gp2-to-gp3-boot-volume-support
미뤘다가..못참고 내가한다.ㅠㅠ 먼저 인스턴스를 생성하고.. 켜져있는 상태로 일단 수정해보자. 부트볼륨으론 지원하지 않는다...-_-;뭐양.. 근데 DOCS 엔.. 지원인데..아직미지원인가..? 이후 지원한다. 잘된다. 쓰세요!
AWS-apple-MAC-instance
오오오오오오!!!!!!!!!!!!!!!!!!!!!!!!!!!!! macOS Catalina 10.15.7 버전을 쓸수있다. 뜨든... 인스턴스 유형은 베어 메탈뿐.. 그렇다고 해서 내가 안만들순없지 가즈아!!!!! -_-; 전용 호스트가 필요하다....근데 전용 호스트 갯수는 not support 상태다 service quotas를 늘려야한다. 일단 바로 요청 근데 금방 안되나? 아마 지금 전세계에서 생성 중일거다..증가가 되면 바로 더 진행해 보겠다. Maximum number of running dedicated mac1 hosts. 보류에서 할당량이 요청됨으로 변경됬다. 그리고 오늘 (12월2일) 요청은 허락되지 않고 기본 제공량이 3으로 변경됬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