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ndows-command-line-support
win key -> cmd ssh 명령어 지원.
win key -> cmd ssh 명령어 지원.
먼저 제소개를 하자면, 시스템엔지니어로 10년차, AWS를 다룬지는 3년이 됐습니다. 요즘 시스템 엔지니어로 시작을 꺼리는 분들이 많습니다. 이유는 클라우드가 급 부상 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물어보면 대부분 클라우드 엔지니어를 하고싶다. 말합니다. 그런데 클라우드 엔지니어는 뭐고, 시스템 엔지니어는 뭐길래 이렇게 이야기가 많을까요? 그럼 두 직군의 차이부터 한번 이야기해봐야 할거 같습니다. 시스템 엔지니어는 클라우드가 생기기 이전부터 시스템 전반을 책임지는 역할로, 주로 셋팅과 구성 그리고 트러블슈팅을 맡아서 하던 직군입니다. 클라우드 엔지니어는 클라우드를 가지고 인프라를 구성하고 트러블 슈팅을 합니다. ...
워드 프레스를 사용하는 사이트중에 이런메시지가 뜬다 이 사이트의 보안 연결(HTTPS)은 완벽하지 않습니다. 이건 모든 컨텐츠가 HTTPS로 전송되지 않고 HTTP로 전송되는 컨텐츠가 있다는 이야기다. 이경우에 모든 컨텐츠를 HTTPS 로 전송하도록 몇줄만 넣어주면 된다. vi 로 wp-admin.php 를 열고 <?php 뒤에 붙여 넣어주자. –소스가 waf에 걸려서 업로드가 안된다-_-; 마음에 여유가 생기면…– https://wordpress.stackexchange.com/questions/170165/wordpress-wp-admin-https-redirect-loop 여기서 57번 답변을 참조하자 이것만 넣으면 모든 컨텐츠가 HTTPS 로 전송된다.
raid f1은 sysnology에서 만든 독자 raid 이다. https://global.download.synology.com/download/Document/Software/WhitePaper/Firmware/DSM/All/enu/Synology_RAID_F1_WP.pdf raid f1 백서다. 지금까지의 레이드는 디스크에 적합한 레이드였다. 그래서 raid controller 를 이용한 레이그 구성시에 SSD를 이용할 경우 정상적으로 퍼포먼스를 사용하지 못하거나 controller의 cache 를 disable 해서 사용하는 등의 여러가지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런 문제점들을 개선하기위해 새로운 레이드를 sysnology에서 만든것같다. RAID F1 F는 flash - 1은 disk 를 나타낸다고 한다. F1은 raid5 의 방식을 차용한것으로 보입니다. 백서에선 요약하면 Synology RAID F1은 다음과 같은 이점을 제공합니다. 성능은 RAID 5에 가깝습니다. 지능형 RAID 재 구축 기존 RAID 알고리즘보다 뛰어난 플래시 내구성 8 %의 낮은 용량 오버 헤드로 높은 스토리지 효율성 (12 개의 SSD가있는 RAID F1) ...
블로깅이 좀 시들해졌다.. AWS Devops pro 시험 준비를 시작하며 쫒기는 느낌이 들면서 다른 모든것에 소홀했다. 생소한것을 배우는건 즐거운 일이지만 거기에 목적이 들어가고 겹쳐지면 초초해진다. 이번엔 내가 페이스를 놓쳤다. 급해지기만했다. 블로깅을 손에서 놓으니까 뭔가 루즈해지는게 치열하지 않았다. 그래서 에드센스를 추가하고 동기를 얻어보려 했는데.. 생각보다 애매했다..ㅋㅋㅋ 일단 유지해보고 반응을 봐야겠다.
Amazon Web Services Service Status Google Cloud Platform Service Status
4월에 PCNE를 취득하고 벌써 3개월 가량이 흘렀다. 해야지 해야지 하고 미루고 미루다 드디어 오늘 PCNE를 취득하고 난 다음 받은 굿즈를 인증겸 리뷰겸 하려 한다. https://linuxer.name/2020/04/gcp-professional-cloud-network-engineer-pcne-review/ PCNE 리뷰는 위의 글을 참고하자. 시험을 다치고나서 2달뒤 당도했다. 조선의 IDC에 당도한것을 환영하오. 낯선 “JBL Clip3"여. 나는 나의 훌륭한 인스턴스들을 굽어살피는 깨우친 엔지니어, 리눅서요. 드립은 그만 치고 뜯었다. 스티커와 함께 들어있는 Clip3 의 자태가 보인다. 뜯는다. 굿즈의 모습이 아름답다. 이 영롱함을 보려고 PCNE를 두번봤다. ...
이아래로는 공부하면서 정리하고 AWS DOCS 에서 발췌한 내용이다. https://docs.aws.amazon.com/ko_kr/kms/latest/developerguide/rotate-keys.html AWS Secrets Manager https://docs.aws.amazon.com/ko_kr/secretsmanager/latest/userguide/intro.html Secrets Manager는 코드의 암호를 포함해 하드 코딩된 자격 증명을 Secrets Manager에서 프로그래밍 방식으로 보안 암호를 검색하도록 하는 API 호출로 바꿀 수 있습니다. 이렇게 하면 보안 암호가 코드에 더 이상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코드를 검사하는 누군가에 의해 보안 암호가 손상되지 않도록 방지할 수 있습니다. 또한 사용자가 지정된 일정에 따라 Secrets Manager가 자동으로 보안 암호를 교체하도록 구성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단기 보안 암호로 장기 보안 암호를 교체할 수 있어 손상 위험이 크게 줄어듭니다. ...
지금까지 내블로그는 복붙이면 가능하도록 만들어 졌다고 생각했다. 그런데 따라해보니 시작부터 에러가 발생하였다. 뭐지? 하고 보니 json 에서 쿼터가.. 이런식으로 작동하는거였다. https://www.fayazmiraz.com/disable-auto-curly-quotes-in-wordpress/ 이페이지를 참고하여 /wordpress/wp-content/plugins 경로에 disable-plugin-quotes.php 를 생성하고 아래와 같은 내용을 추가하여 주었다. [root@ip-10-0-0-12 plugins]# cat disable-plugin-quotes.php
IT인프라 유저그룹에서 세션을 진행했습니다. 아무도 이야기하지 않는 클라우드 3사 솔직 비교 라는 주제였습니다. 많은 고민을 해왔던 주제고 어느정도 결론을 낸 주제이므로 나름의 자신이 있었습니다. 글을 써내려 갈때 주로 선택하는 방식이 주제와 결론을 정하고 주제에 따른 살을 입혀서 내용을 풍성하게 만드는 방식으로 주로 글을 씁니다. 퍼블릭 클라우드 3사 비교라는 주제는 자칫하면 쏠릴 수 있고 민감한 주제라 어떻게 풀어가야할지 고민을 많이했지만 평소 관심이 많은 주제라 망설임 없이 슬라이드를 작성하였습니다. ...